도장
나노크랙실 (NANO CRACKSEAL)
· 개요
나노크랙실은 일액형 고탄성 퍼티 제품으로서 내/외부에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높은 신장율과 메꿈성, 신축성, 내수성,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제품입니다.

제품명 | 나노크랙실 |
---|---|
점도 | 100,000 ~ 140,000 |
비중 | 1.40 ~ 1.50 |
색상 | 백색 |
사용량 | 1.2kg/m2 (0.8mm이상 시공 가능) 두께와 시공부위(벽,천정등)에 따라 제품별 소요량의 증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건조시간 | 24시간(정상시공 및 온도조건하) |
인장강도 | 1.4Mpa 이상 |
신장율 | 300%이상 (오차범위 10% 이내) |
부착강도 | 1.0Mpa 이상 |
시공도구 | 강철재 흙손 또는 헤라 |
첨가제 | 요구될 때 깨끗한 물(최대 1% 이내) |
포장단위 | 20Kg 플라스틱 통 |
저장 | 개봉하지 않은 상태에서 12개월 |
· 시험성적서
성적서번호 | CT19-047192 |
---|---|
시험방법 | KS F 3211:2015 |
시험항목 | 인장성능-인장강도(N/㎠ ) : 160.5 인장성능-파단시 신장률(%) : 345 부착성능-무처리(N/㎠) : 92.7 |
비고 | (20 ± 2) ℃ (65 ± 20) % R.H. |

· 나노크랙실 제품의 특성
나노크랙실은 일액형 고탄성 패티 방수 제품으로 아래와 같은 특성을 가집니다.
- 우수한 내수성
- 영구적 신축성 발현
- 빠른 건조
- 우수한 작업성
- 매우 우수한 부착력
- 뛰어난 은폐력
- 매우 우수한 상도 도장 안정성
· 나노크랙실 제품의 용도
콘크리트면, 몰탈면 및 시멘트 바탕면의 크랙 발생부위, 창문 또는 문틀주위의 씰링, 석고보드, 합판 등 기타 건석
공법의 조인트 부위 등의 평활한 면에 적용 가능하며, 플라스틱이나 철판을 제외한 거의 모든 건축물 벽면에 시공이 가능합니다.
신축 및 노후 건물의 외관 크랙으로 인한 누수에 적합합니다.

특허현황 및 비교표
· 특허현황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방법 개요 및 특장점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방법에 있어
작업 효율성 및 보수된 건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것은 물론, 균열 보수에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01. 현재까지의 균열보수의 문제점
탄성도가 높은 균열보수제는 유분함유량이 높아 햇빛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균열보수제 표면으로 유분이 노출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며 그 유분에 각종 미세먼지들이 점착하여 변색 또는 오염되어 건축물의 외관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함
02. 현재까지의 문제점의 해결 방안
균열보수 공법을 적용함으로 인해 장기간 햇빛에 노출 되어 있어도 변색 및 오염이 되지 않고
건축물의 외관유지에 장기적인 유지가 가능함
03. 자재 선택의 자유성
현재 아파트 하자보수 공사에 적용되는 공법들은 자재와 연관되어 공법적용을 위한 자재선택의 폭이 좁았으나,
균열보수 공법을 적용 할 시 자재선택의 폭이 넓어짐
04. 작업성이 뛰어난 시공성
기존의 균열보수 공법보다 실용성 있는 작업 방법으로 인건비가 절감되는 반면에
균열보수 및 건축물 보수 공사에 있어 탁월한 효과를 창출함.
장기 수선계획의 기간과 동일 또는 유사한 외관의 보존을 위한 공법으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균열보수 시공 흔적의 노출을 100% 차단하기 위한 공법임
· 타 공법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방법 비교분석
타 공법의 장, 단점 |
---|
기존의 타 공법
장, 단점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방법의 장점(보완점) |
---|
|
균열보수 방법
· 시방서 및 작업방법

* 균열부위 게링 작업 : 2mm 이하 소균열을 보수합니다.
* 2회 균열보수 작업 : 바인더와 페인트 및 퍼티제를 혼합하여 균열보수를 진행하며, 균열보수제와 벽체 색상과 동일한 색상으로 보수합니다.
01. 하지정리
헤라 등으로 균열 부위의 열화된 페인트 및 표피 등을 제거한다.
02. 균열보수제 도포
균열부위에 고탄성 퍼티를 1차 도포하고 충분한 시간이 지난뒤 벽체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균열보수제와 바인더를 혼합하여 2회차 균열보수를 롤러 및 붓으로 실시한다.
· 시공단면도
